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왜 우리나라는 겨울에 태풍이 오지 않을까?

by 오아시스나무 2025. 4. 10.
반응형

태풍은 여름과 가을에만 오는 자연재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태풍은 겨울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은 겨울철에도 태풍이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죠.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겨울 태풍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태풍이란?

태풍(Typhoon)은 열대 저기압의 일종으로, 해수면 온도가 26.5℃ 이상인 따뜻한 바다에서 발생합니다.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발생한 에너지가 회전하면서 강력한 폭풍과 비를 동반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6월부터 10월 사이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으며, 특히 8~9월이 최절정기입니다.


겨울에도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동남아시아, 특히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등 열대 기후 지역에서는 해수면 온도가 연중 비교적 높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로 인해 겨울철에도 해수 온도가 27℃ 이상인 바다가 존재하기 때문에, 겨울에도 태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2021년 12월 필리핀을 강타한 **슈퍼태풍 ‘라이(Rai)’**가 있습니다.
12월이라는 비수기에도 강력한 피해를 남긴 이례적인 태풍이었죠.


우리나라에 겨울 태풍이 오지 않는 이유

우리나라가 겨울철 태풍 영향에서 벗어나는 이유는 기후, 기압, 해수온 등 여러 가지 기상 요소에 있습니다.

1. 해수 온도의 차이

겨울철 한국과 그 인근 해역의 해수면 온도는 대체로 15℃ 이하로 떨어집니다.
태풍은 따뜻한 바다에서 에너지를 얻어 발달하는데, 겨울 바다는 태풍이 유지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2. 찬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되며 한반도에 차가운 북서풍이 강하게 작용합니다.
이러한 기압 배치는 태풍이 북상하기 어렵게 만들고, 자연스럽게 태풍의 경로를 남쪽으로 틀게 합니다.

3. 제트기류와 대기의 흐름 변화

겨울에는 상층 제트기류의 위치가 변하면서 열대 저기압이 북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막습니다.
결과적으로 태풍은 필리핀이나 남중국해 근처에서 소멸하거나 남서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태풍이 겨울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매우 희박한 확률입니다.
기록상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가장 늦은 태풍은 10월 하순까지이며,
12월이나 1월에 영향을 준 사례는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계절 경계가 모호해지고, 해수 온도도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이 이어지면서
앞으로는 겨울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겨울 태풍, 그리고 우리가 대비해야 할 것

우리나라는 지리적, 기후적 특성 덕분에 겨울철에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지구 온난화 등 이상기후가 지속되면 계절 불문하고 태풍과 같은 기상 재해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확한 기상 정보와 날씨 예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기후 변화에 대한 경각심과 대응 방안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