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월 4일부터 재건축·재개발 절차 간소화! ‘패스트트랙’ 도입

by 오아시스나무 2025. 2. 21.
반응형

오는 6월 4일부터 재건축·재개발 절차가 대폭 간소화됩니다.
특히 재건축의 경우 안전진단 없이도 사업 착수가 가능한 ‘정비사업 패스트트랙’이 도입되며, 조합 설립 절차 간소화, 전자 동의 및 온라인 총회 도입 등 다양한 제도 개선이 이루어집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며,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정비사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 재건축·재개발 절차 간소화 주요 내용

재건축 패스트트랙 도입 → 안전진단 없이 착수 가능
재건축진단 요청 시 30일 이내 통보 → 현지조사 절차 폐지
기존 재건축진단 결과 재활용 가능
정비구역 지정 전에도 조합설립추진위원회 구성 가능
토지 등 소유자 동의 절차 간소화 → 동의 항목 일괄 인정
분양 내용 통지 기간 120일 → 90일로 단축
전자 동의 및 온라인 조합총회 도입 (12월 4일부터 시행)
복리시설 재건축 조합설립 동의요건 완화 (2분의 1 → 3분의 1)
공기업·신탁사의 사업 참여 시 토지 소유자 30% 동의 필요

📌 이번 개정안은 재건축·재개발 사업 속도를 높이고 절차를 간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1. 재건축 패스트트랙 도입 → 사업 속도 빨라진다!

📌 재건축진단 절차 간소화

  • 기존: 지자체가 현지조사 후 실시 여부 판단 → 승인까지 오랜 시간 소요
  • 개정 후: 현지조사 없이 30일 이내 재건축진단 실시계획 통보 → 사업 속도 단축

📌 재건축진단 재활용 허용

  • 기존에 재건축진단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 사업시행계획인가 전까지 동일한 결과보고서를 재활용 가능

📌 정비구역 지정 전에도 추진위 구성 가능

  • 단, 추진위 구성 당시 면적과 정비구역 지정 후 면적 차이가 10% 이상일 경우 재승인 필요

🏠 2. 조합 설립 절차 간소화 & 전자 동의 도입

📌 토지 등 소유자의 동의 절차 간소화

  • 정비계획 입안 요청, 입안 제안, 추진위 구성 동의 중 하나만 동의해도 나머지 항목도 동의한 것으로 인정
  • 동의 철회는 인허가 신청 전까지 가능

📌 전자 동의 및 온라인 총회 도입 (12월 4일부터 시행)

  • 조합설립 동의, 사업시행인가 등 각종 동의를 전자 방식으로 인정
  • 조합총회는 현장 참석뿐만 아니라 온라인 출석도 가능
    • 단, 전자서명법에 따른 본인확인 절차 필수

📌 복리시설 재건축 조합설립 동의요건 완화

  • 기존: 토지 소유자 2분의 1 동의 필요
  • 개정 후: 3분의 1 동의만 있어도 조합설립 가능

🏗️ 3. 사업 시행자 요건 완화 → 공기업·신탁사 참여 확대

📌 공기업·신탁사가 사업 시행자 지정 전에도 사업 참여 가능

  • 단, 토지 소유자 30% 이상 동의 필수
  • 공공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사업 진행 속도 및 신뢰도 향상 기대

🎯 결론: 재건축·재개발 절차 간소화로 사업 속도 ↑

재건축 패스트트랙 도입 → 안전진단 없이 사업 가능
조합 설립 및 추진 절차 간소화 → 전자 동의·온라인 총회 도입
복리시설 조합설립 요건 완화 → 동의율 3분의 1로 완화
공기업·신탁사의 정비사업 참여 확대 → 사업 속도 가속화